





ⓒ 권진규기념사업회 · 이정훈
ⓒ 권진규기념사업회 · 이정훈
ⓒ 권진규기념사업회 · 이정훈






한국 근대조각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권진규(1922~1973). 박수근, 이중섭과 더불어 한국 근대미술의 3대 거장으로 평가받는 조각가 권진규의 작품들을 대전에서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골프존조이마루에 위치한 아트센터쿠에서는 오는 4월 26일부터 7월 11일까지 한국근대미술 3대 거장 ‘구상조각 권진규’展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테라코타 조각의 선구자인 권진규 작품의 특징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자소상’과 ‘지원의 얼굴’, ‘상경’, ‘오월의 여왕’ 등 여인들을 모델로 한 작품, ‘마두’ 그리고 유화와 드로잉에 이르기까지 그의 천재적인 예술세계와 리얼리즘 조각의 진수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작품 19점이 전시된다.
권진규는 1922년 4월 7일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나 춘천중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사설 미술 아틀리에에서 미술수업을 받았다. 광복 후 1947년 이쾌대가 운영하던 성북회화연연구소에 다니며 속리산 법주사 미륵대불의 마무리 작업에 참여했다. 1948년 도쿄예술원에 들어가 미술교육을 받았고, 1949년에는 무사시노 미술학교 조각과에 입학하여 조각을 본격적으로 공부했다. 1959년 귀국하여 서울 동선동에서 작업실을 마련하였는데, 이곳에서 경복궁 난간의 십이지상, 남대문 용마루 잡상 등을 스케치하는 등 전통문화에 몰두했으며, 새로이 부조작업과 오래된 공예기법인 건칠을 조각의 기법으로 발전시키는 시도도 했다.
권진규의 작품은 점토를 빚어 구운 테라코타 상으로 여성 누드와 흉상, 동물상 등이 주류를 이룬다. 그는 소토로 원형을 만들고 그 본을 진흙으로 굳혀 가마에서 구워내는 테라코타 작업에 몰두했다. 1965년 국내 첫 개인전에서 선보인 마두, 인물입상 등의 작품들은 모두 고대 토우를 연상시키는 테라코타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권진규 예술세계의 정점으로 손꼽히는 작품인 ‘자소상’을 선보인다. 그는 1965년 처음으로 가졌던 개인전 포스터에 ‘자소상’을 전면으로 내세웠고 마지막 이력서에 대표적 작품으로도 자소상을 꼽았을 만큼 애착이 강했다. 허공을 바라보는 듯 흔들림이 없는 눈은 본질을 꿰뚫는 힘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무언의 메시지를 통해 무언가를 갈구하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전시에서는 또 여인상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권진규는 여성의 얼굴에 매혹됐던 작가였다. 그의 작품 모델들은 대다수가 연극배우, 학생 등 주변의 인물들이다. ‘지원의 얼굴’은 홍익대학교 제자인 장지원을 모델로 하였으며 ‘영희’, ‘홍자’, ‘경자’ 등도 주변의 여인들을 형상화한 작품들이다. 실제 인물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이지만 과감한 생략과 왜곡된 형태감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을 확립하였다. 여인들의 얼굴은 폭이 좁고 들어가고 나온 부분들이 도드라졌는데 이는 한국인의 전형적인 얼굴이 아니라 이상적인 얼굴형을 추구하고 있다. 길게 내민 목과 먼 곳을 응시하는 시선과 정면부동의 자세는 긴장감과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내면서 마치 영혼의 소리를 들으려는 구도자의 모습으로 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 건칠 기법으로 제작한 ‘5월의 여왕’은 다른 여인상과는 달리 작품 속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
권진규는 여러 종류의 동물 형태를 형식에 구애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제작했다. 특히 말은 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모티프였다. 말을 주제로 한 작품이 수묵드로잉에서부터 환조, 부조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던 사실은 그가 말 주제에 몰입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마두’는 말을 모티브로 한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와 함께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유화, 드로잉은 그의 조각 작품들과의 다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작품들로 평가를 받고 있다. 권진규는 한국의 리얼리즘을 정립하고 싶어 했다. 평론가들은 그의 작품 세계를 ‘강인한 리얼리즘’이라고 표현했다. 표면적으로 세밀함을 추구하지 않고 크고 무게가 있는 안정감을 보인다고 평가했다.
아트센터쿠 전미영 대표는 “권진규는 우리나라의 구상주의 조각을 정립하고 발전시키려는 신념이 확고했던 만큼 그의 작품들은 한국 현대조각의 시발점 이었다”며 “이번 대전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세계를 감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입장료
성인 5,000원/어린이·청소년 3,000원/단체 20명이상 10% 할인/
장애우·국가유공자(관련증소지자) 무료